설날 2024년 2월10일 설날 어원 및 유래 그리고 설날 역사가 2000년 이상이라니 ?

설날은 저에게는 늘 설레는 날이었습니다. 명절음식도 먹고 명절 맞이 새옷도 사주시고 그리고 무엇보다 그동안 만나지 못했던 일가 친척들을 만나는 날이 바로 설날이었습니다. 까치까치 설날은 어저께구요 우리우리 설날은 오늘 이래요 ~~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까치 울음소리 또한 반가운 소리였습니다. 지금은 많이 퇴색된 설날 명절증후군이라 해서 여자들의 가사노동이 폭발하는 명절 음식등등 지금은 설날이라 해도 예전 처럼 그런 감정들은 많이 줄어 들었습니다. 2024년 설날은 대체 공휴일이 적용돼 4일간이고 2024/2/10일 토요일이 설날이네요 고유명절 설날에 대해 한번 알아볼까요

설날https://powershin.co.kr/%ec%84%a4%eb%82%a0%ec%9d%8c%ec%8b%9d-5%ea%b0%80%ec%a7%80-%ec%86%8c%ea%b0%9c-%eb%b0%8f-%eb%96%a1%ea%b5%ad-%ec%a0%84-%ea%b0%88%eb%b9%84%ec%b0%9c-%ec%9e%a1%ec%b1%84-%eb%82%98%eb%ac%bc-%ec%83%81%ec%84%b8/

설날https://namu.wiki/w/%EC%84%A4%EB%82%A0

설날 이란 ?

  1. 설날·구정(舊正), 정일(正日)은 한민족의 전통적인 명절로, 한 해의 시작인 음력 1월 1일을 가리킨다
  2. 설날 하루 전과 다음 날을 포함한 설날 연휴는 추석 연휴와 함께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
  3. 까치까치 설날 2024년은 2/10일이다

설날 어원

  1. 설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대체로 네 가지의 설이 있는데
  2. 새로 온 날이 낯설다는 의미에서 낯설다의 어근인 “설다”에서 온 것으로 본 시각
  3. 한 해가 새롭게 개시되는 날을 의미하는 “선날”이 설날로 바뀌었다고 보는 시각,
  4. 한국어로 나이를 의미하는 살과 동계어라는 시각
  5. 자중하고 근신한다는 의미의 옛말인 “섦다”에서 왔다고 보는 시각
  6. 설 전날을 ‘까치설’이라고도 하는데, 까치와는 관계없고 작은 설을 뜻하는 ‘아치설’ 또는 ‘아찬설’이 변한 말이라고 한다. 어차피 ‘까치’도 울음소리를 나타낸 말과 작다는 뜻의 ‘아치’가 합쳐진 말이다.

설날 역사

  1. 설은 곧 새해의 첫 날을 기념하는 날 오래 전부터 지내던 명절이다
  2. 태음력에서 역법 전체의 기준이 되는 달은 동지가 든 달이다. 여기에 동짓달을 기준으로 12지를 적용해서, 동짓달이다음 달이 축월이라는 식으로 나가는데, 역법은 초기부터 문제가 생긴다.
  3. 하·은·주 어디의 역법을 쓰느냐에 따라서 정월이 변한다는 이야기다.
    • 참고로 전국시대 이전에 존재했던 고육력 중 위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역법 중 황제가 만들었다는 황제력과 노나라 역법인 노력은 주나라와 마찬가지로 동짓달 첫날이 새해의 시작이었고, 전욱이 만들었다는 전욱력은 ‘동짓달 전 달인 해월'(음력 10월)이 정월이 된다.
    • 중국 역법은 수많은 자잘한 수정을 통해서 역법이 완성되어 가는데, 중간에 서양역법이 들어와서 태양태음력이 되었고 그 중 최종본이 청나라대에 완성된 시헌력이다.
    • 이 때문에 공식적으로 음력 1월이 정월이 되고, 음력 1월 1일이 설날이 된 것은 20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한다
  4. 부여가 시헌력 기준 음력 12월에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을 볼 때 부여 시절부터 설날의 풍습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5. 구체적인 설날의 풍습에 대한 기록은 신라시대에 전해지는데 수서에 의하면 신라인들은 원일, 즉 새해 첫날에 서로 문안을 드리고 왕이 성대한 잔치를 베풀어 군신들을 격려하며 일월신에게 제사를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6. 삼국사기에는 백제 고이왕이 정월에 천지신명에 제사를 지냈고 책계왕때 시조 동명왕에게 정월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설에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는 전통도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7.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중요 명절로 설날은 빠지지 않았는데 이는 설날이 이미 오래전부터 중요한 명절로 여겨졌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8. 전통적으로는 설날부터 정월 대보름까지는 쭉 이어지는 축제 기간으로 이 기간 중에는 빚독촉도 하지 않았다는 말이 전해진다.
  9. 을미개혁에 따라 1896년부터 태양력이 시행되면서 음력이 폐지되었으나 양력은 낯선 것이었고 그동안 음력에 맞춰 살아온 사람들은 음력 1월 1일을 새해 첫날로 보내었다.
  10. 일제강점기 때도 마찬가지로 양력 1월 1일이 공식적인 새해 첫날이었고 음력의 과세를 구시대의 관습으로 여겨 타파하고자 하였으나 음력 1월 1일을 새해 첫날로 지내던 풍습은 여전히 계속되었다.
  11.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에는 신정만 연휴였고 양력 1월 1일부터 1월 3일까지 쉬었으며 음력 1월 1일은 공휴일은 아니었지만 재량에 따라 음력 1월 1일에 휴무하는 기업은 많았다.
  12. 사람들은 음력에 맞춰 친척과 만나 제사를 지내고 성묘와 세배를 지냈다.
  13. 이렇게 태양력 도입 이후에도 음력 1월 1일을 새해 첫날로 여겨 명절로 보내는 풍습은 꾸준히 유지가 되었기 때문에 이에 음력 1월 1일을 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는 사회의 목소리는 이전부터 꾸준히 제기되었다.
  14. 음력 1월 1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한 첫 사례는 1976년이었으나 혼란이 가중된다는 이유로 흐지부지되었고, 1981년에도 공휴일 지정이 검토되었으나 내무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러던 중 전통 민속 문화를 계승·발전 시키자는 취지로 1985년부터 음력 1월 1일을 민속의 날로 호칭하고 공휴일로 지정되기 시작하였고 1989년부터는 음력 1월 1일을 설날로 호칭하고 연휴기간을 3일로 연장하여 오늘날까지 유지되고 있다.
  15. 신정 연휴는 1990년부터 3일에서 2일로 줄이고, 아예 1999년부터는 1월 1일 하루만을 공휴일로 지정하였으며, 명칭도 신정에서 그냥 1월 1일로 변경하였다.
  16. 젊은 세대로 갈수록 실생활에서 양력의 사용 비중이 늘어나고 있고 음력은 그 비중이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설날(음력 1월 1일)을 새해의 첫날을 기념하기 위해 지낸다기보다는 연휴 그 자체로서 지내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17. 설의 본래 목적인 새해의 첫날을 기념하는 행사(타종행사, 해돋이 관람 등)는 양력 1월 1일에 하는 추세이다.
  18. 1990년대 이후 출생 세대들은 과거 한국에서도 양력설을 연휴로 쇘다는 사실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고, 오히려 부모나 조부모 시대에 음력설이 없었고 양력설만이 연휴였다는 사실에 놀란다
  19. 연휴로서 신정을 쇠는 집안도 있으며 그런 경우 공무원 집안이 많다고 한다.
  20. 음력설을 쇠지 않았을 시기에는 정부 산하 공무원들이 솔선수범하여 신정을 쇠도록 독려했기 때문이며, 또 다른 경우로는 가족의 합의에 의해 양가 가족을 모두 방문할 수 있도록 배려하기 위한 것도 있다.
  21. 음력설을 지내지 않는 외국인과 국제결혼을 한 사람이면 문화적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두 설날 모두 쇠는 경우가 많다

설날이 2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니 2000년전 선조나 지금때나 새로운 날 새 뜻으로 시작하자는 의미는 동일 한것 같습니다. 설날 기원설도 3가지나 된다는데 대해서 새롭고 저는 개인적으로 한 해가 새롭게 개시되는 날을 의미하는 “선날”이 그 의미로 가장 맞지 않나 생각도 해 봅니다. 설날의 풍습과 그리고 설날 음식에 대해서도 자세히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