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 날짜 2월4일 입춘 음식 및 입춘 풍속을 정리하다

입춘이 곧 돌아옵니다. 2024년을 시작한지 몇일 되지 않았는듯 한데 1월이 지나고 벌써 2월 왜 이렇게 시간은 빨리 지나가는걸까요 ? ㅋㅋ 나이에 따라 시속이 달라신다 했는데 나이가 드니 더 시간이 빨리 지나가는것 같습니다. 입춘이면 꽁꽁언 강 아래 물이 흐르고 가장 먼저 강아지풀이 한들거리고, 바람도 아직까지 춥지만 그 바람 강도가 쎄지 않는 곧 훈풍이 올듯한 바람이 불어 입춘은 늘 설레임의 대상인듯 합니다

입춘이라는 24절기를 이제는 젊는 사람들은 가물가물 그나마 명맥은 가게등에 들어갈때 입춘대길이라는 한자를 보고 아 ~ 입춘이라는 절기도 있구나 정도로 생각하는 지금은 많이 퇴색되는 절기이자 계절이듯 합니다

입춘을 지나면 곧 개나리 꽃망울 피는 봄이 올거라 기대하며 고대하며 입춘을 맞습니다

입춘

  1.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
  2.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
  3. 태양의 황경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
  4. 입춘은 음력으로 주로 정월에 드는데,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다. 이럴 경우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
  5. 입춘은 새해의 첫째 절기이기 때문에 농경의례와 관련된 행사가 많다.
  6. 입춘이 되면 도시 시골 할 것 없이 각 가정에서는 기복적인 행사로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인다

입춘https://folkency.nfm.go.kr/topic/detail/4758?pageType=search&keyword=%EC%9E%85%EC%B6%98

입춘 날짜

  1. 2024년 2월 4일 (일요일) 입춘 (음 12월25일)
  2. 봄절기중 매 처음 있는 절기.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가 봄 절기이다

입춘 의의

  1. 입춘은 24절기 가운데 첫 절기로, 이날부터 새해의 봄이 시작된다. 따라서 이날을 기리고, 닥쳐오는 일년 동안 대길(大吉)·다경(多慶)하기를 기원하는 갖가지 의례를 베푸는 풍속이 옛날에는 있었으나, 근래에는 더러 입춘축만 붙이는 가정이 있을 뿐, 그 절일(節日)로서는 기능을 상실하고 말았다
  2. 계절
    • 봄(음력 1월)
  3. 날짜
    • 양력 2월 4일경
  4. 시절음식
    • 오신반(五辛盤), 세생채(細生菜), 명태순대(明太-)
  5. 관련정일
    • 재봉춘(再逢春)
  6. 관련속담
    • 이월에 물독 터진다, 가게 기둥에 입춘이라, 입춘 거꾸로 붙였나, 입춘에 장독”오줌독” 깨진다, 입춘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7. 관련풍속
    • 입춘축(立春祝), 연상시(延祥詩), 입춘하례(立春賀禮), 입춘굿(立春-), 토우를내는일, 목우(木牛), 보리뿌리점, 입춘치(立春-), 입춘첩(立春帖)
  8. 보리뿌리점
    • 한 애의 농사를 미리 점쳐보는 농사점을 보는 풍습
    • 보리 뿌리를 살펴 한해 농사점을 치고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 제일 먼저 튀어나온 씨앗이 그해 풍작이 든다고 믿음
  9. 목우놀이
    • 농사의 시작과 권농을 알리는 상징적인 행사를 함
    • 나무로 소의 형상을 만들어 한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기 위한 행사를 말함
    • 목우희라고도 불리움
    • 소는 농사에서 가장 수고하는 노동력의 결정체이자 농가의 가장 큰 재산
    • 민간에서의 소를 이용하여 한 해 농사 시기를 알리고 풍년을 기원하는 상징으로 이용
  10. 입춘굿
    • 한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던 굿놀이가 행해짐
    • 무당들이 농사짓는 과정을 흉내 내는 굿을 통해 그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함

입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11118&cid=50221&categoryId=50230

입춘 음식

  1. 입춘날 입춘절식이라 하여 궁중에서는 오신반을 수라상에 얹고, 민가에서는 세생채를 만들어 먹으며, 함경도에서는 민간에서 명태순대를 만들어 먹는다.
  2. 경도잡지와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경기도 산골지방의 육읍, 지평, 포천, 가평, 삭녕, 연천에서는 총아·산개·신감채등 햇나물을 눈 밑에서 캐내어 임금께 진상한다
  3. 궁중에서는 이것으로 오신반(다섯 가지의 자극성이 있는 나물로 만든 음식)을 장만하여 수라상에 올렸다.
    • 오신반은 겨자와 함께 무치는 생채요리로 엄동을 지내는 동안 결핍되었던 신선한 채소의 맛을 보게 한 것이다.
  4. 민간에서는 입춘날 눈 밑에 돋아난 햇나물을 뜯어다가 무쳐서 입춘 절식으로 먹는 풍속이 생겨났으며, 춘일 춘반의 세생채라 하여 파·겨자·당귀의 어린 싹으로 입춘채(立春菜)를 만들어 이웃간에 나눠먹는 풍속도 있었다
  5. 오신채
    • 오신채는 불교에서 먹지 못하는 다섯 가지 채소를 일컫는다.
    • 한국 사찰에서 특별히 먹지 못하게 하는 음식이다.
      • 마늘·파·부추·달래·아위의 다섯 가지로, 대부분 자극이 강하고 냄새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율장에 따르면, 이러한 음식을 공양하면 입 주위에 귀신이 달라붙는다고 한다.
      • 날로 먹으면 성내는 마음을 일으키고 익혀 먹으면 음심을 일으켜 수행에 방해가 된다 하여 불교에서 오신채를 금하는 이유이다.
    • 현대 한국 사찰에서는 양파도 마찬가지로 금기시하며 반려동물에게는 매우 위험한 음식이다.
  6. 세생채
    • 봄철 채소로 파, 겨자, 삽주싹, 당귀싹등의 햇나물을 일컫는데 민간에서는 이 세생채로 입춘재를 만들어 이웃 간에 나눠 먹는 풍속
  7. 명태순대
    • 명태 내장을 모두 빼내고 그 안에 소를 채워 만든 순대
      동태순대라고도 불리움
      만드는 방식은 실제 순대와 비슷하지만 실제 조리시 선지는 넣지 않음
      명태순대는 명태의 배를 가르지 않고 내장을 깨끗하게 퍼낸 다음 고기, 채소, 두부등을 다져 만든 소를 채워 놓고 입을 오므려 묶어서 만듬
      만들어둔 명태순대는 찌거나 구워 먹음

입춘대길 건양다경

  1.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합니다’라는 의미.
  2. 입춘방 중 입춘대길은 남인의 거두 미수 허목이 만들었고, 건양다경은 우암 송시열이 만들었다.
  3.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는 입춘방을 대문이나 대들보, 천장에 붙였다. 액막이.
  4. 소문만복래(웃으면 만복이 온다) 등 축원도 자주 나온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