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개요
한글날 은 훈민정음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1926년 9월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그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됐습니다. 광복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되었으며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세종어제 서문과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은 국보 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Memory of World) 으로 등록되었습니다
한글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23264&cid=50221&categoryId=50232
한글날 유래
- 훈민정음은 세종 25년 1443년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 되었다.
- 한글은 자연 발생적으로 생긴 것이 아니라 세종대왕이 주도하여 창의적으로 만든 문자인데 지극히 과학적이고 합리적이어서 세계 문자 역사상 그 이상을 찾을수가 없다.
- 한글만큼 우수한 문자가 없다는 것을 세계가 모두 인정하고 있다
- 한글의 창제로 말미암아 우리는 문자가 없어서 남의 글자인 한자를 빌려다가 우리말을 중국말 문법에 맞추어 쓰던 불편을 벗어버리고 자유롭게 표현을 할 수있게 되었다
- 오늘날과 같은 문화, 경제, 정치등 각 분야에 걸친 발전을 이루어 세계 유수한 나라들과 어깨를 겨누게 되었다
- 한글날은 이러한 한글의 창제와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우수성과 공로를 길이는 날이다
한글날 내용
- 한글날을 처음 제정한 것은 일제 강점기에 있었던 1926년 일이다
- 조선어연구회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이라 하고 그날 서울 식도원에서 처음으로 기념식을 거행한 것이 시초다
-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고 억압에 눌러서 위축되어 있던때라 민족정신을 되살리고 북돋우기 위하여 한글날을 제정하여 기념하기로 함
- 9월 마지막 날인 29일을 한글날로 정한것은 세종실록 28년 9월조의 이 달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지다 라고 한 기록을 근거로 한것이며 디름을 가갸날이라 한것은 그때 아직 한글이라는 말이 보편화 하지 않았고 한글을 가갸거겨 하는 식으로 배울때였기 때문디다
- 한글이라는 이름은 언문, 반절, 가갸글 등으로 불러오던 훈민정음ㅇㄹ 1910년 주시경을 중심으로 한 국어 연구가들이 으뜸가는 글 , 하나 밖에 없는 글이라는 뜻으로 지어 쓰게 된것이다
- 한글날로 이름을 바꾼해는 1928년이다 음력으로 기념해오던 한글날을 양력으로 고치고 10월 29일을 한글날로 정했다
- 한글날을 양력 10월 9일로 확정한것은 1945년 우리나라가 광복이 되고 나서였다
- 한글날이 비로소 전국적으로 행사하는 해가 되었다
- 한글날은 1970년 관공서의 공식 공휴일이 되었다.
한글날 의의
-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바포하기 까지 우리에게는 말은 있었으나 그것을 적을 글자는 없었다, 말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는다. 말은 말을 하는 그 시간 , 그자리에 있지 않으면 그것을 들을 수가 없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것이 글자이다
- 말을 글자로 적으면 먼곳에 있는 사람에게나 다른 시대에 사는 사람에게도 지식과 정보, 자기의 생각을 전달 할 수가 있다
- 글자가 없으면 지식의 축적, 문화의 발전을 기대할 수가 없다
- 우리는 우리말을 적을 수 있는 글자가 없어서 중국의 한자를 빌어다가 변형하여 쓰거나 그대로 썼다
- 생각을 정확하고 세세히 적을수 없어 일상생활도 불편하고 문화 발전에 커다란 장애가 되었다
- 이러한 장애가 있어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일반 백성이 쓰도록 하였으나
- 문화를 주도하는 사대부 계층이 오랜 한자, 한문 생활에 젖어 한글 쓰기를 거부한데 이어 연산군 때의 한글 탄압 이후로 한글은 아녀자들이 쓰는 글자로 전략하였다
-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한글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고 황제 칙명으로 한글에 국문으로서의 지위를 주었다
- 한글이 오늘날 같이 확실하게 우리 글자로 자리 잡기전 광복 직후 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는 부끄러울 정도로 문맹률이 극히 높았다. 한자
- 또는 한문은 배우기가 어려워서 보편화 되지 못했고 한글은 배우기가 쉬웠으나 한글을 아는 것으로는 밖에서 일을 할수가 없었다. 글을 모르고 지식을 습득할수 없고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활의 향상, 문화의 향상을 도모할수 없다.
- 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도 높은 수준에 이르러 일정한 국제적 지위를 확보 할수 있었던 것은 우리에게 한글이라는 글자가 있어 동력원이 되었기 때문이다.
- 한글날을 국경일로 하여 한글의 창제와 그 우수성을 기리며 고마움을 마음에 새기며 한글과 국어의 발전을 다짐할 필요성이 여기에 있다
한글날 을 맞으며
- 최근 SNS 와 온라인 커뮤니티에 화제가 된 단어가 있다. 한 카페의 메뉴판에 있던 단어인데 무슨 음식인지 알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 MSGR 의 정체는 해외 음식도 아닌 국내 전통 음료인 미뭇가루 였다
상점과 지자체 등이 외국어를 지나치게 남용을 해 불편을 호소하고 또 그릇된 언어 정체성을 보여주는 바도 많다 간판이 한글보다 영어, 일본어등 외국어가 대다수 차지하는 상황이다, 또한 메뉴판도 외국어 일색이라 외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불편할수 밖에 없다 - 무문별한 외국어 사용은 자성이 목소리도 필요하다 . 너도나도 표현되는대로 외국어를 남용하다 보니 우리나라에 있으면서도 외국에 있는 기분까지 든다
최근에는 한글이 한결이 더 세련됐다라고 생각되는 인식도 조금씩은 되살아 나고 있으나 여전히 외국어 남용에 따른 비판의 목소리도 크다 - 하지만 일부에서는 여전히 영어가 익숙해진 상황이고 식당에서도 볼수있는 외국어는 누구나 읽을수 있는 수준이고 오히려 관광객들에게는 도움이 된다고 외국어가 자연스럽게 섞이는것도 하나의 언어적 현상이라고 말은하는데 불필요한 수준의 외국어 까지 표기 하는것은 지양하는게 맞다고 본다
- 우리의 것이 세계 최고라는 사실 그것만 공감되도 한글사랑에 앞장설수 있을것이다
- 빛나는 세계문화유산 “훈민정음” 을 가진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