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식 예절, 옷차림, 절하는 방법, 장례식 인사법 4가지 사례, 장례식 유의사항

장례식 에서는 많은 예절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인 행사가 아니라 흉사이기에 더더욱 주의를 기울이고 신경써서 예를 갖춰야 합니다 . 장례식 예절의 중요한 옷차림, 장례식 절하는 방법, 장례식 인사법 , 장례식 유의사항 (삼가해야될 사항) 등을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장례식 예절http://www.fta.or.kr/sub02_0603.php

장례식 옷차림

예전에 우리 조상들은 평상복이 한복이었던 관계로 흰 옷을 입고 가는 것이 예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양복을 입는 관계로 문상객의 복장도 변모하게 되었다. 화려한 색상의 의복이나 장식은 피하며, 가능한 무채색 계통의 단정한 옷차림이 무난하다.

  1. 남성 문상객의 옷차림
    • 대의 장례 예절에서는 검정색 양복을 입는 것이 무난하다.
    •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다.
    • 와이셔츠는 될 수 있는 대로 화려하지 않은 흰색 또는 무채색 계통의 단색으로 하는 것이 좋다
  2. 여성 문상객의 옷차림

  1. 검정색 상의에 무채색 계통의 폭이 넓은 치마를 입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2. 검정색 구두에 스타킹이나 양말을 필히 작용하여 맨발을 보이지 않아야 한다.
  3.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통일 시킨다.
  4. 색채화장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장신구도 가능하면 피하거나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장례식 절하는 방법

절이란 몸을 굽혀 공경을 표시하는 인사 방법으로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 예절이다. 절은 윗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공경하는 예로써 행하여지며, 공경해야 할 대상을 상징하는 표상이나 의식행사에서도 한다.

< 장례식 인사법 – 남자 >

  1. 공수법
    • 두 손을 모아 앞으로 잡는 것을 공수라 하는데 이는 공손한 자세를 나타내며, 모든 행동의 시작이다.
    • 공손한 자세는 어른에게는 공손한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공손한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게도 편안한 자세가 되어야 한다.
      • 공수는 두 손을 앞으로 모아서 잡는 것을 말한다.
      • 공수는 남자와 여자의 손 위치가 다르다.
      • 공수는 평상시와 흉사시)가 다르다.
      • 공수는 의식행사에 참석했을 때나 어른을 뵐 때 반드시 한다.
      • 공수는 배례의 기본동작이다.
  2. 평상시 남자와 여자의 공수 동장
    • 공수시 남자는 왼손을 위로하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두 손을 가지런히 포갠다.
    • 흉사때는 남녀 모두 평사시와 반대로 한다
  3. 절하기전 바른자세 (남자)
    •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양 옆에 둔다. (손가락을 모두 모아 가볍게 주먹을 쥔다.)
    • 공수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놓는다. (평상시 공수) 자세는 왼손을 위로 하여 맞잡고,
    • 흉사에는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잡는다.
  4. 절하기전 바른자세 (여자)
    • 양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양 옆에 둔다. (손가락을 모두 모아 가볍게 오므린다.)
    • 공수한 손을 허리선 부분에 놓는다. (평상시 공수 자세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맞잡고,
    • 흉사 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잡는다.
  5. 남자 절하는 방법
    • 자세를 바로 한다.
    • 공수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평상시에는 왼손을 위로하고 흉사(凶事)시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 공수한 손을 눈높이로 올린다.
      • 이때, 손바닥은 바닥을 향하도록 하고 눈은 발등을 향한다.
      • 평절의 경우 공수한 손을 가슴높이로 올릴 뿐 나머지 방법은 큰절과 같다(한번만 한다).
    • 왼 발을 조금 뒤로 빼면서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고 무릎을 꿇는다.
      • 이때,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는다.
    • 몸을 앞으로 깊이 숙여 절한다 – 2번
  6. 여자 절하는 방법
    • 자세를 바로 한다.
      • 공수한 손은 허리선 부분에 두고 바른 자세로 선다.
      • 공수: 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고 흉사시에는 왼손을 위로 한다.
    • 공수한 손을 풀어 바로 선 자세에서 무릎 꿇고 앉는다.
    • 양손을 무릎 앞부분 양 옆의 바닥을 짚으며 절한다. 2번

< 장례식 인사법 – 여자 >

장례식 인사말

  1. 상 할 때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오는것이 일반적이며 전통적인 예의이다.
  2.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오히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다.
  3. 문상을 받은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모법으로 여기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4.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평소의 친소 관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
  5. 격식이나 형식을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지한 위로 한마디를 미리 문상 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다.
  6. 상주도 ‘고맙습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7. 상주의 부모인 경우
    •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친환으로 그토록 초민하시더니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나 망극하십니까?
    • 환중이시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 뵈옵지 못하여 죄송하기 짝이 없습니다.
    • 그토록 효성을 다하셨는데도 춘추가 높으셔서 인지 회춘을 못하시고 일을 당하셔서 더욱 애통하시겠습니다.
    •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드려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 망극 : 부모상(父母喪)에만 쓰인다.
  8. 상주의 아내인 경우
    • 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
    • 옛 말에 고분지통이라 했는데 얼마나 섭섭 하십니까?
    • 고분지통 : 아내가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의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9. 상주의 남편인 경우
    • 상사에 어떻게 말씀을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 천붕지통에 슬픔이 오죽하십니까?
    •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천붕지통 : 하늘이 무너지는 듯 한 아픔이라는 뜻으로 “남편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이다
  10. 자녀가 죽었을때 그 부모인 경우
    •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 참척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 참경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하십니까?

장례식때 삼가해야 할것

  1. 유가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 것은 실례가 된다.
  2. 상주,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3. 상주가 어리다 하여 반말이나 예의 없는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4.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한다.
  5.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문상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한다.
  6. 고인의 사망 원인, 경위 등을 유가족에게 상세하게 묻는 것 또한 실례가 된다.
  7. 집안 풍습이나 종교가 다른 경우라도 상가의 가풍에 따라 주는 것이 예의다.
  8. 망인이 연만하여 돌아가셨을 때 호상이라 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으나, 이는 예의가 아니다.
  9. 과도한 음주, 도박 등으로 인한 소란한 행위나 고성방가는 삼가야 한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